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https://cafe.daum.net/inyeung/MZG/12804?svc=cafeapi
- 니다
- http://cafe.daum.net/inyeung/MZG/12741?svc=cafeapi
- https://cafe.daum.net/inyeung/MZG/12895?svc=cafeapi
- https://cafe.daum.net/inyeung/MZG/12859?svc=cafeapi
- Today
- Total
그래mds
[스크랩] 옥천 제1의 산; 장령지맥의 주산; 장령산 탐방 본문
1. 산행일시; 2018. 6. 2.(토)
ㅇ날씨; 쾌청(옥천지역 기온 30˚c의 더운 날)
ㅇ동행; 허 고문.
2. 교통
ㅇ갈때;
*서울역-대전(무궁화호열차, 좌석문제로 대전역에서 환승함) -옥천
ㅇ올때
*옥천-대전(무궁화호로 대전역, 대전역에서 연계문제로 새마을호로 환승)-서울역.
ㅇ옥천- 장령산 휴양림 왕복; 군내버스.
3. 산행경과.
ㅇ진행코스;
*휴양림입구→사목재(휴양림4코스)→용암사 왕복→거북바위→왕관바위→작은산(545m)→장령정
→장령지맥갈림봉→장령산(654.5m)→휴양림 제5코스(1,2,3 전망대)→휴양림→휴양림 입구.
ㅇ 산행거리; gps 측정거리; 9.1km.(아래 개념도 참조)
4.장령산(長靈山)
1)장령산은 원래 장룡산(壯龍山)으로 불렸으나, 군지명위원회의 요청에 따라,1995. 5.1.중앙지명
위원회의 개정고시로 장령산으로 개칭되었습니다.
2)충남의 최고봉 서대산(903.7m)과 마주보며 힘찬산세를 이루는 산으로 동쪽에 천년고찰 용암사를
품고 있고, 서쪽에는 자연휴양림이 자리하여 주민의 휴식처가 되고 있습니다.
3) 장령산은 장령지맥의 주산이며, 인근 4개산의 종주길 "천,성,장,마" 즉 천태산,대성산,장령산,
마성산의 종주길이 장령지맥과 갈라지는 위치에 자리한 산이기도 합니다.
4)신라 진흥왕 13년(552년)에 창건된 사찰 용암사에는 고려때 조성된 쌍석탑(보물 1338호)과 충북
유형문화재17호인 마애불이 대웅전 뒤의 큰 바위에 조각되어 있어 신도들의 발길이 잦은 곳이기도
합니다.
*장령지맥;
금남정맥의 대둔산(879m)남쪽 인대산(661.8m)과 백령고개 사이의 610m봉에서 분기한 식장지맥이
월봉산(543m)을 지나, 금성산(439m)에 이르러, 동북으로 가지를 쳐, 옥천군 군북면 장계관광지 앞
금강에 이르러, 그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52.2km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이 산줄기상에는 미륵재, 삽재, 닭이봉분기봉,민재, 서대산분기봉, 방화봉(585m),국사봉(667.5m)
대성산(704.8m), 매봉(600m) ,장령산, 도덕봉(407.3m), 함박산(250m), 퇴미산(249m), 돌남산
(258.6m), 마성산(409.3m), 이슬봉(454.9m), 참나무골산(422m)등이 있습니다.(아래지도참조)
*천,성,장,마(天,聖,長,馬) 종주길;
영동군 양산면, 천태산(714.7m)부터 북쪽의 대성산(704.8m), 장령산을 지나, 마성산(497m)
까지 도상거리 26km의 산줄기로 능선상의 4개산 이름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명칭입니다.
영동의 산악인 박달령(닠네임)님이 개척한 종주길입니다. (아래지도 참조)
5.상행사진
1)정상사진
△작은산 정상.(아무런 표지도 없음)
△장령정
△4코스 능선에서 건너다 본 서대산
△제3전망대에서 본 서대산
△장령정이 있는 봉우리의 원경
△이상 마성산
2)장령산 4코스 하이라이트 암릉
<거북바위>
△나도 한컷
<왕관바위>
△작은산에서 건너다본 왕관바위
△저 바위틈으로 빠져 나옴
3)조망사진
△대전 식장산 원경
△서대산
△도덕봉(용암사 가는길에서 마주 본 건너편의 철길이 지나는 봉우리)
△우측 뒤 환산
△앞 장찬저수지
△제일 위쪽의 다리(사진우측 끝부분)가 출발 도착 지점
△제1전망대에서 본 제2 전망대
4)등로 풍광
△제1 전망대(이런류의 전망대가 5개소가 더 있음)
△신설 5코스는 이런형태의 길과 데크 길의 연속임
△5코스 입구의 신목교(44m)
5)용암사
△대웅전 뒤로 보이는 바위가 마애불상이 조각된 바위임
△동서3층석탑(보물 1338호)
△충북유형문화재 17호 마애불상
6)트랭글 궤적등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두위지맥의 마무리; 영월 계족산 산행 (0) | 2018.06.17 |
---|---|
[스크랩] 해운대 미포부터 3포를 지나 "옛 대동고 변방의 포구" (대변항) 까지........... (0) | 2018.06.10 |
[스크랩] 화악지맥의 끝머리 산; 보납산,물안산, 마루산을 찾아서............(전철시리즈 제27탄) (0) | 2018.05.27 |
[스크랩] 청송 대명 리조트를 BC로 가족 휴가를 .........(1) (0) | 2018.05.22 |
[스크랩] 주왕산(周王山) 주방천 계곡길 trekking (0) | 2018.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