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니다
- http://cafe.daum.net/inyeung/MZG/12741?svc=cafeapi
- https://cafe.daum.net/inyeung/MZG/12859?svc=cafeapi
- https://cafe.daum.net/inyeung/MZG/12804?svc=cafeapi
- https://cafe.daum.net/inyeung/MZG/12895?svc=cafeapi
- Today
- Total
그래mds
[스크랩] 영남알프스 자체 전망대; 언양의 鎭山; 高獻山 산행 본문
1.산행일시;2017.11.12.(일)
*날씨; 쾌청
2.오랫동안 멀리 했던 "영남알프스" 가 갑자기 그리워, KTX 예약부터 합니다.
되도록 KTX이용을 자제 하려 하나, 산행 시간등을 고려 하여 할수없이 울산행 열차에 오릅니다.
역앞 정류장에서 외항재로 가기 위해 버스를 이용, 언양읍내로, 다시 버스를 갈아타고 산내면
대현3리 정류장에 도착, 간단히 산행 준비후 천천이 외항재로 향 합니다.
"낙동정맥"길을 따라서 고헌서봉, 정상,그리고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동봉을 돌아보고 다시 서봉
으로 돌아와 남쪽 방향의 등로로 신기 마을에 이르고 1km정도 위쪽에 있는 고헌사를 둘러 본후
신기 버스 정류장에서 GPS 측정거리 11.7km(실제거리 약13km내외)의 산행을 마침니다.
3.정상에서의 조망은 날씨가 쾌청하여 영남알프스의 맹주 가지산을 위시한 여러 명봉들의
진면목을 볼수 있었고, 북쪽의 경주지역 단석산 방향과 동쪽 울산 방향의 시원스러운 풍광을
즐길수 있었습니다.
4.고헌산;
고헌산은 언양의 진산으로 언양의 옛 이름 "獻陽"으로 불릴때 산이 높아 불리게 된 지명이라고
합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현의 북쪽 십리에 있는 鎭山으로 기록 하고 있습니다.
고헌산은 가뭄이 들때 정상의 용샘에서 기우제를 지내던 곳 이었으며,주변에 골짜기가 많은데
"곰지골"은 곰이 자주 나타 났다하여 붙여 졌고, 연구골은 영고사라는 큰절이 있던 곳으로,
현재는 터만 남아 있으며, 도장골은 골짜기가 길을 감추고 있어 부르게 된 이름이라고 합니다.
경주시 산내면 사람들은 "고함산"이라고 불렀는데, 문복산 바위 아래서 석이 버섯을 따던 사람을
큰 거미의 위험으로 부터 구하기 위하여, 맞은편 산에서 이를 본 사람이 고함을 질러 구하게 된데
서 유래한것으로 전해 오고 있습니다.
5.영남알프스;
영남 알프스는 울산,밀양,양산,청도,경주의 접경지에 형성된, 가지산을 중심으로 한 해발1000m
이상의 9개의 산이 수려한 산세와 풍광을 자랑하여 유럽의 알프스와 견줄만 하다하여 붙여진 이름
입니다.
가지산(1241m), 간월산(1069m), 신불산(1159m), 영축산(1081m), 천황산(1189m), 재약산
(1119m),고헌산(1034m),의 7개산을 지칭하나, 운문산(1195m), 문복산(1015m)을 포함 하기도
합니다.
그중 신불산, 가지산, 재약산(천황산포함), 운문산은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이기도 합니다.
영남 알프스는 전체 면적이 약 255㎦이며 가을에 황금 억새 평원에 나부끼는 순백의 억새가 환상
적으로, 한강이남에서 가장 아름다운곳으로 알려져 전국 산꾼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신불산과 영축산사이 평원에 1,983,471㎡ (약60만평)
*신불산과 간월산사이 간월재에 330,578㎡ (약10만평)
*고헌산 정상부에 661,157㎡ (약20만평)의 억새 군락지가 형성 되어 있고
*특히 재약산과 천황산 동쪽 의 사자평은 4,132,231㎡ (약125만평) 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민 휴양과 정서 함양에 이바지 할 목적으로 1979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가지산 도립공원은
*통도사 지구; 28.31㎢
*내원사 지구; 44.69㎢
*석남사 지구; 30.07㎢ 로 형성 되어 있습니다.
영남 알프스에는 통도사,운문사,석남사 표충사 등의 명찰이 있으며, 그 밖에 절경, 전설의 보고
이기도 합니다.
*영남알프스 명칭유래;
등산객이 점차 증가 하던 1970년대 후반에 처음 사용 한것으로 보입니다.
일본 산악인과 교류가 비교적 많았던 부산지역 산악인들이, 일본 산악인들이 "일본에는북알프스와
남 알프스 같은 절경의 산악지대가 있다"는 자랑에 대응, "우리 나라에는 영남알프스가 있다"고
한데서 이 명칭이 유래 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낙동정맥;
백두대간 천의봉(매봉산1,303m)에서 갈라져 부산 다대포 몰운대에 이르는 약 370km의 산줄기
입니다.
낙동정맥의 정확한 분기점은 태백시 황지 북쪽의 천의봉 동쪽 능선상의 1,145m봉이며 (또는
구봉산< 910m>로 표기 하기도 함) 강원도 남부에서 경상 남,북도의 동해안과 낙동강 유역의
내륙을 가르는 분수령의 산맥 입니다.
낙동정맥의 주요산은
구봉산(910m), 백병산(1259.3m), 면산(1245.9m), 묘봉(1167.6m), 삿갓봉(1119.1m),통고산
(1066.5m), 칠보산(974.2m), 백암산(1004m), 맹동산(807.8m), 왕거암(907.4m), 운주산
(806.2m),사룡산(685m), 단석산(827.2m), 백운산(870m), 고헌산, 가지산(1240m), 신불산
(1159.3m), 영축산(1058.9m), 정족산(748.1m), 원효봉(920.7m), 천성산(812.7m), 계명봉
(602m), 금정산(802m), 백양산(641.7m)등입니다.
7.산행사진
1)정상모습
▲ 정상원경
▲ 이상 서봉
▲이상 동봉
2)조망사진
▲좌 가지산과 우 상운산
▲ 뒤 우천황산과 좌 재약산
▲신불산과 간월산 방향
▲배내봉, 능동산,석남고개
▲ 쌀바위와 상운산
▲ 신기 마을
▲문복산
▲백운산과 단석산 방향
▲소나무봉 능선
3)등로 풍광
▲산악 4륜 바이크 행렬
▲서봉 아래 전망암
▲전망암 2
▲무릅까지 빠지는 낙엽길
▲철쭉나무 숲
▲전망암 3
▲ 숲의 빛갈
4)고헌사의 풍경등
▲애기 단풍
▲마가목 열매
5)트랭글 궤적 등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華城의 제1봉 舞鳳山 산행...........(전철시리즈 제17탄) (0) | 2017.11.26 |
---|---|
[스크랩] 감악지맥의 주봉; 紺嶽山 산행...........(전철시리즈 제16탄) (0) | 2017.11.19 |
[스크랩] 月岳山 國立公園의 변방, 말목산과,加隱山 탐방 (0) | 2017.11.06 |
[스크랩] 남원의 "火山" "소용아 장성" 마무리 산행; 고리봉과 삿갓봉 탐방 (0) | 2017.10.31 |
[스크랩] 陜川大幷5嶽의 마무리; 墟堀山과 金城山 山行 (0) | 2017.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