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

[스크랩] 구산선문(九山禪門)중 1곳을 품었던 봉림산(정병산) 탐방

장대장 2018. 4. 30. 17:00

   1.산행일시; 2018. 4.29.(일)

     ㅇ날씨; 맑은 날이나, 기온이 높았슴.

       (창원의 낮기온 섭시 24도, 경남지역의 연무현상으로 기대했던 조망은 여의치 않았슴)

     ㅇon-line 산악회 동참.


   2.산행경과

     ㅇ진행경로;

     *창원국제사격장 출발→소목고개→전단쉼터→정상및 산불감시 초소봉 왕복→501m봉→수리봉→

     내정병봉→용추고개→우곡사 갈림2→용추7교→출렁다리→용추정→비봉샘→입구안내소→주차장.

     ㅇ산행거리; gps 도상거리 8.1km, 실제 거리10km 내외. (아래개념도 참조,그린색선 따라 진행)


   3.정병산(精兵山 566.7m)

    1)정병산은 "낙남정맥"상의 산으로 그높이에 비하여 탁월한 조망을 즐길수 있는 산이며, 산의명칭

      유래에 대한 많은 설이 전해고 있습니다.


     시계가 좋은 날에는, 이산의 서쪽으로 진달래로 유명한 천주산, 상봉 그리고 작대산등이, 북서쪽

     주남저수지 뒤로는 창령의 영취산,병봉,화왕산과 청도의 화악산, 그리고 밀양의 종남산과 영남알

     프스 산군들까지 볼수 있습니다. 

     동쪽으로는 무척산, 금정산, 토곡산, 천성산등이, 서남쪽으로는 무학산, 대산, 광려산등이,그리고

     남으로 진해의 장복산 능선과 동남쪽으로 낙남정맥상의 여러 봉우리 들이 눈에 들어와, 조망의 즐

     거움에 취할수 있는 아주 좋은 전망대 구실을 하기도 합니다.   


    2)명칭유래;

      *영지요선(1934년간)에 전단산함께 精屛山으로, 그후 창원군지(1962년)에는 精兵山으로 기록

     되어 있습니다.


     창원도호부 권역 지명연구(민긍기 2000년)에 의하면  정병산의 精兵또는 精屛은 甑峯의 현지음

     (징봉)과 유사한 한자음 표기로 이해 하고 있습니다.

     증봉의 甑이 시루를 의미하고 "증"으로 표기된 산이름이 대개 수리, 시리,사리로 불리기 때문에

     증은 수리봉의 수리를 나타낸 표기로 보이며, 수리는 동쪽을 뜻하는 말로 창원도호부 동쪽의 산

     으로 방위 인식에 따라 수리봉(증봉)과 같은 이름이 생긴것으로 보고 있으며, 수리봉이 변하여

     정병산이 된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창원시사(1988년)에 나오는 "烏合之卒精兵於壇山 (오합지졸정병어단산)"이란 구절에서

     따와 정병산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내용은 정병산을 민간 어원적으로 해석한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병산의 또다른 이름인 旃檀山(전단산)의 기록은 경상도 속찬지리지에 처음 나오며 그후 신증

     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대동지지등의 문헌에 표기 되어 있습니다.


     진경대사 보월능공탑비에 의하면 신라때 진경대사가 강원 명주에서 김해 서편에 복림이 있다는

     소문에 그곳을 떠나 진례에 이르러 절을 세우고 봉림이라 하였다고 합니다.

     옛날 "림"자가 들어 가는 지명은 길지로 알려져 통일신라 말기에 "구산선문"의 하나인 봉림사와

     이에 속한 많은 사찰이 건립되어 불교가 성하게 되었고, 고려 시대 이후에는 마야부인이 전단

    행나무로 만든 평상위에서 석가모니를 잉태한 꿈을 꾸었다하여, 전단은 불교와 관련이 깊은것

    으로 인식되었으며, 이후 불교 요람의 산을 전단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합니다.


     "봉림산"이라는 명칭도 봉림사가 자리한 산이라는 곳에서 유래 한것이라 합니다. 


      *구산선문

     통일신라 말기 선종계의 중심사찰을 이르는 말입니다.

     선종은 "깨달음을 얻어 스스로 부처"가 된다는 믿음의 종파이며, 교종은 경전과 이론중시의

     종파를 이르는 말입니다.

        1) 가지산문; 장흥 가지산 보림사(도의)

        2) 실상산문; 남원 지리산 실상사(홍척)

        3) 동리산문; 곡성 동리산 태안사(혜철)

        4) 희양산문; 문경 희양산 봉암사(도헌)

        *5) 봉림산문; 창원 봉림산 봉림사(현욱)*

        6) 성주산문; 보령 성주산 성주사(무염)

        7) 사굴산문; 강릉 사굴산 굴산사(범일)

        8) 사자산문; 영월 사자산 흥녕사(도윤)

        9) 수미산문; 해주 수미산 광조사(이엄)


   4.낙남정맥과 신낙남정맥

   백두대간 지리산 영신봉에서 김해의 동신어산아래 매리2교 낙동강하구에 이르는 약 242km의

   산줄기로 낙동강의 남쪽 경계를 이루는 산줄기 입니다. 


   정맥의  북쪽물은 낙동강으로 남쪽의 물은 섬진강이나 남해로 흘러 듭니다.

 

   이 산줄기의 주요산으로는, 영신봉(1652m),삼신봉(1289m),봉대산(409m),백운산(391m),대곡산

   (543m),무량산(581m),덕산(278m),용암산(400m),여항산(770m),서북산(739m),광려산(752m)

   대산(727m),대곡산(516m),무학산(761m),천주산(639m),정병산(567m),대암산(670m),용지봉

  (744m),황새봉(393m),신어산(631.1m)등의 산들이 있습니다.


    *신 낙남정맥;

   그러나 기낙남정맥에 대하여 산줄기의 주맥은 바다에서 끝나야 한다는 산자분수령의 원칙에 위배

   된다 하여 용지봉(745m)에서 북동쪽으로 가는 대신 바다가 있는 남동쪽 방향으로 불모산(801.1m)

   화산( 799.2m),굴암산(662.7m),너더리고개, 두동고개,보배산(479.2m),장고개,봉화산(329.1m)

   을 지나 부산 강서구 녹산수문에 이르는 도상거리 24.5km의 구간을 일명 "낙남의 꼬리"라하여

   낙남정맥 끝자락으로 규정하고 기존 낙남정맥과 구별하기 위하여 신낙남정맥이라고 합니다.

   실질적으로 이 쪽산줄기가 보다 뚜렸하고 힘찬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5.산행사진

        1)정상사진


△이상 정병산 정상


△산불감시 초소봉


△이상 501m봉




△이상 수리봉



△이상 내정병산


     2)조망사진





△전단쉼터 뒤로 이어지는 낙남정맥 산줄기


△창원 국제종합사격장


△국방관련 연구실험시설


△이상 창원대학과 뒤 장복산 능선


△비음산 날개봉 원경


△창원 중앙역


     3)등로 풍광

△출발선의 놀부대장


△사격장 약수


△소목고개 등나무 쉼터


△급경사 정상 오름길










△온라인 산악회 케빈 마스터


     4)용추계곡

△출렁다리


△용추5교

 *용추계곡에 이런 모양의 11개의 목교가 상류 까지 설치되어 있는데, 비피해로 3곳이 파손 상태라고 함


  △비봉샘. 물이 시원하고 맛이 좋았음.


△용추정


△이곳 바위 뒤에서 금년 처음으로 간이 알탕을.......


     5)트랭글 자료등




출처 : 여행등산야생화 사진
글쓴이 : 장대장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