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이야기

한탄강(漢灘江)변 순례(巡禮)

장대장 2018. 6. 22. 17:23



      1.일시; 2018. 6. 20.(수)

       ㅇ날씨; 맑음

       ㅇ동행; 우리 가족

     2.이동경로및 교통편;

       ㅇ이동경로;

        *수유역 출발→의정부 축석령→소흘읍(87국도)→포천→깊이울계곡입구→진군교4거리

         (37번국도)→오가교차로→창동로(87번국도)→영로대교→중리(지장산막국수;중식)→

       삼율교차로(78번지방도)→대회산교→[비둘기낭캠핑장(비둘기낭폭포, 포천 하늘다리등)]

      →78번지방도→삼율교차로(87번국도)→387지방도→[한탄강고석정국민관광지]→태봉로

      (463지방도)→화지3거리(87번국도)→도피안사 입구→월하3거리→[철원노동당사]→대마

      4거리(백마고지기념탑입구)→3번국도→신탄리역→대광리→연천 동현3거리→78번지방도

      [재인폭포 왕복]→전곡→소요산입구→동두천→덕정→덕계→양주시청→의정부→서울수유.

       ㅇ교통편; 승용차 이용.

    <한탄강 명칭유래>


        <비둘기낭,포천하늘 다리등 약도>



     3. 철원지역(지포리)은 군생활 초년시, 1년간을 보낸곳이라 남다른 애정이  남아, 산행이 아니더라도

      몇차례 들려, 옛부대 주둔지를 돌아 보기도 하였으며, 군생활 당시 한탄강변에 외출을 나왔을때, 강의

      흐름과 경치가 특이 함을 느꼈던 생각이 나, 군생활의 옛날을 다시 반추해 보는 기회가 되기도 하였습

      니다.


     "비둘기낭폭포" 와 "포천 하늘다리"를 일별(一瞥)하고, 철원 "고석정 국민관광지"로 이동하여 구비쳐 흐르

     는 한탄강과, 물길을 따라 흐르는 "래프팅보트"를 바라 보면서, 시원함의 대리 만족을 느끼면서 잠시나마 

     망중한의 한때를 즐기기도 하였습니다.


      다시, 철원 안보관광지 "노동당사"를 둘러 본후, 백마고지 기념공원을 멀리 바라보면서 3번 국도를 따라

    고대산 입구를 지나, 오늘 일정의 끝인  연천 "재인폭포"를 구경하고 귀가 하였습니다.


     4.주상절리와 하식동굴(하식동)

      주상절리는 암석이나 지층에 나타나는 기둥모양의 평행한 틈(절리)을 말합니다.

      주로 용암이 분출되어 굳어진 화산암지역에 많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뜨거운 용암이 분출하여 식을때 부피

      가 수축하면서 만들어 집니다.

      일반적으로 단면이 6각형 모양을 이루며 용암이 식는 환경에 따라 4-8각형의 다양한 형태가 생김니다.

      우리나라에는 제주도및 동해안에 발달되어 있고 내륙에는 한탄강이 대표적인 주상절리 분포지역입니다.

      절리의 형태에 따라 기둥모양의 주상절리외에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는 판상절리 부채꼴모양의 방사상절리

      등이 있습니다.


      하식동굴은 하천의 흐름에따라 생성되는 동굴로서 하천의 흐름이 빠른쪽 벽면중 상대적으로 침식에 약한

      부분이 깍여 나가면서 생성됩니다.

      비둘기낭 폭포는한탄강에서 가장 규모가 큰 하식 동굴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頭部침식현상) 

      *두부침식;

      하천침식형태의 하나로 하천이 상류쪽으로 침식하여 그 길이를 증가 하는 현상. 

     


      5.비둘기낭폭포 사진








6포천하늘다리

  ㅇ제원; 현수교(출렁다리)

    길이; 200m.  폭; 2m.  높이; 50m.

    스카이 워크 3개소(유리바닥)










   7.마당교




8.한탄강 조망








9.고석정







  10.철원 노동당사





△노동당사 뒤에서 만난 길고양이의 포스


   10.재인폭포

      재인폭포 하단 길 계단의 파손으로 폭포 하단 접근이 불가 한 상태임.

      수량 부족으로 옛날 본 모양과 비교 할때 실망 스러웠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