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廣州(광주)의 泰白(태백) 종주길 탐방(2)
1.산행일시; 2018. 10. 13.(토)
ㅇ날씨; 맑음.
ㅇ동행; 허 고문.
2. 교통
ㅇ갈때;
*강변역; 4,2호선 전철 이용.
*강변역-외대 용인 캠퍼스; Red 버스 1117번 이용.
ㅇ올때;
*용인 휴양림- 신분당선 성복역; 수지에 사시는 고마운 분의 승용차 편승.(재삼 감사 드립니다)
*성복역-양재역; 전철로 도착, 이어 3,4호선 전철 환승 귀가.
3. 산행경과
ㅇ산행코스
*외대용인캠퍼스정문-400m남쪽 등산안내도-순환 임도길-운동시설 쉼터-주능선 합류3거리
-전망대-노고봉(578.2m)-정광산(563m)-휴양림3거리-벌덕산(475m)-휴양봉(520m)-
활공장-휴양림 갈림4거리-휴양림 짚라인 출발지-치유의숲길-휴양림 입구.
ㅇ산행거리; gps 측정거리 8km. (아래 개념도 참조)
4.노고봉, 정광산, 벌덕산, 휴양봉
ㅇ노고산 명칭유래
노고산이나 노고봉의 본래 이름은 할미산이나 할미봉입니다.
이는 대부분 "큰산"의 의미를 갖는 이름입니다.
우리말 가운데 크다라는 뜻을 갖는 "한"이 산과 만나 "한뫼"가 되며 음운변화에 따라 "할매"로
다시 "할미"로 변하였다는 것입니다.
이 할미란 말은 할머니 <祖母(조모)>의 할미와 같은 발음으로 한자화 하면서 큰산의 의미는
사라지고 "할머니의 산"의 의미로 변질되어 老姑(노고)가 산이름으로 되었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한뫼가 할미로, 다시 한자화 하면서 노고로 변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ㅇ正光山(정광산)
정광사라는 절에서 유래한 명칭이라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습니다.
ㅇ벌덕산
산의 형세가 평평하면서도 산이 뒤로 벌덕 누어 있는 것 같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ㅇ휴양봉
휴양림의 바로 뒤에 자리하고 있어 불려지게 된 명칭으로 추측됩니다.
*광주 태백종주길
경기도 광주시와 용인시에 걸쳐, 남북으로 7산 5봉을 이어가는 20km 내외의 종주길입니다.
산행 들,날머리의 선택에 따라 산행거리가 달라 질수 있습니다.
이 산줄기의 산들은 해발 표고는 낮으나 up,down의 연속으로, 장거리 고산 산행의 준비를
위한 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이산줄기의 산은 남으로 부터 미역산(612m),태화산(644m,이능선 제1봉),연지봉(561.8m)
마구산(595m.용인제1봉),미락산(474.8m),휴양봉(520m),정광산(563m),노고봉(578.2m),
발리봉(514m),용마봉(583m),백마산(503m),마름산(310m)등 입니다.
이산줄기는 "광주 7산종주" "경기도 알프스"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지고 있습니다.
< 아래지도 참조>
5. 산행사진
1)정상사진
△ 이상 정광산
△이상 벌덕산
△이상 휴양봉
2)조망사진
△외대 용인 캠퍼스
△경안천과 모현읍
△모현읍 방면
△임도 둘레길
△활공장에서 본 시어골 모습
3)등로모습
△임도 둘레길 전망대
△노고봉 전 전망대
△케언
△로프지대
4)패러글라이딩
5)용인자연휴양림
△짚라인 타워
6)트랭글 궤적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