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回夜江 물길따라 걷는 해파랑길 5코스 trekking

장대장 2019. 6. 11. 13:06

   

    ㅇ해파랑길 5코스

    1)해파랑길 5코스는 "동해자전거길"과 같이 가는 길입니다.

    2)해파랑길 10개 전구간 50개코스 770km중 울산구간(5개코스 82.6km)의 시작 코스로 진하 해변

       에서 덕하역에 이르는 17.6km의 걷기 길입니다.

    3)당초에는 간절곶 북쪽 진하해변을 출발, 회야강을 따라 외고산 옹기마을 까지 간후, 덕하역 까지

       바다와 강, 옹기마을등을 아우르는 길로 조성하였는데, 진하해변을 지나며 해파랑길이 내륙의

       "회야강"을 따르게 된 이유는, 공업항과 커다란 국가산업공단의 해상길을 피하기 위함이었다고

       합니다.

      그 후에 내륙을 지나는 기 외고산 옹기마을을 지나는 길도, 사유지 경유문제로 재 조정되어 회야강

      을 계속따라 온산읍 수변길을 지나는 루트로 변경 되었습니다.

      (남창천의 회야강합수점에서 망양3거리 까지 7km구간) 

 

     *회야강

   1)경남양산시 평산동 천성산에서 발원하여 덕계천과 합류, 온산읍 서생면을 지나 동해로 흘러듭니다.

   2)하천길이; 41km 유역면적; 217.93㎢

   3)명칭유래

     가.신라 박혁거세가 태어난 박이 밤에 이 강으로 떠 돌아왔다는 설이 있고, 임진왜란때 왜적을 무찔러

         크게 이긴 곳이라고 합니다.

     나.토박이 땅이름으로 "돌 배미강"이며 다른 이름으로 一勝江 이라고도 합니다.

         곡류천을 명명할때 曲, 回, 仇非, 道內및 敦, 石과, 유류의 형태를 나타내는 弓, 乙, 之자를 많이

         썼는데, "논 배미를 돌아서 흐르는 강"이라는 뜻의 "돌 배미 강"에서 "돌"을 돈다는 뜻의 "回"자로

         바뀌고, "배미"는  논 배미-바미- 밤으로, 밤이 "夜"자로 변하여 "回夜江"이 된것으로 추정되고 있

         습니다

 

     다.조선시대에는 곰내 혹은 곰수로 불렸고, 웅촌에서는 남천, 온산에서는 회야강, 서생에서는 일승강 

         이라 불렸습니다. 

         일승강이라 불린이유는 임진왜란당시 단 한번의 전투에서 왜군을 꺽었다고 해서 나온 이름이라 합 

         니다. 

        (이상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에서 발췌)

  

     *명선도

   1)진하해변 앞의 섬으로 썰물때는 육지와 연결되는 섬입니다.

   2) 해송과 일출의 명소로 알려진 곳입니다.

   3)섬의 크기; 넓이;10,900㎡. 둘레; 약 500m.

   4) 무인도  (아래 안내문 사진 참조)  

 

 

     *명선교

  1)회야강 하구의 온산읍 강양리와 서생면 진하리 해변을 연결한 타워형의 사장교 입니다.

  2)제원; 2008. 12. 착공-2010. 3. 준공

            *총사업비(울주군); 97억 9000만원

            *길이; 145m. * 넓이; 4.5m. *높이; 17.5m. (요트 출입을 위한 높이로 설정)

            *주탑높이; 27m.  *조형; 비상하는 한쌍의 학을 표현.

            *경관조명; 622곳.(야간 경관이 좋아 관람객및 전문진사 들의 출사도가 높다고 함

            *용도; 인도교.

            *오름계단; 돌아 오르는 약 120여개의 목계단.(장애인 노약자용 엘리베이터 설치)

  3)전해 오는 이야기

    회양강을 사이에 두고 두 어부가 사이 좋게 살았다고 합니다.

    그들에게는 강양호라는 아들과 진하랑이라는 딸이 있었는데, 이두사람은 후에 사랑하게 되었다합니다.

    그러던 어느날,  두 어부가 심하게 다투어, 원수지간으로 변했다 합니다. 

    사랑을 위해 두남녀는 도망계획을 세웠는데, 약속한 날자에 강물이 갈라졌고, 두사람이 만나자 강물이

    닫히고, 진하랑의 댕기와 강양호의 두건은 두마리 학으로 변하여 날아가 버렸는 이야기 입니다.

 

    그래서, 명선교의 중앙에 학 두마리의 모습을 형상화한 조형물을 세우게 되었다고 합니다. 

 

 

*상세 답사기는 아래 주소 클릭!

 http://cafe.daum.net/inyeung/MZG/12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