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陜川 大幷五嶽의 儀龍山,岳堅山에 오르다
1.On-line 산악회의 대병5악 산행에 참가 합니다 .
2.합천 15호 군도 옆 용문사(용문교) 입구에서 출발,의룡산에 오른후 서쪽능선을 타고 악견산에
올라,합천호의 푸른 물과 주변 경관을 조망한 후 두곳의 산성터를 지나 댐 주차장에 이르는 약 7km
정도의 산행 이었습니다. (개념도 참조)
외견상으로, 의룡산이나 악견산은 해발 고도나 규모면으로 보아 작은 산으로 보이나 수직에
가까운 급경사의 등로,기암과,암능의 연속 등으로 옹골차고,암팡진 산세를 과시 하는, 상당한
난이도의 산행길을 갖인 산이었습니다.
3.악견산 정상에서 맑은 날에는 합천댐의 푸른 물은 물론,황매산,거창방향의 명산들,그리고
멀리 지리산,덕유산,가야산등의 위용을 모두 볼수 있는 곳이나, 오늘은 습도가 높은등 시계가
좋지 않아, 인근 대병5악의 풍광을 즐기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습니다.
4.대병5악
합천군 대병면 합천호 주변에 黃梅山(1108m),월여산(862.6m),소룡산(519.7m),악견산634m)
墟堀山(681.8m),金城山(592.1m)등의 수려한 암능미를 갖춘 산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중 황매산,악견산,의룡산,금성산,허굴산을 "대병 5악"이라 부르고, 황매산을 제외한 4산을
"대병4악"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암봉으로 형성된 대병5악은 합천호의 풍경과 더불어 절경을
선사 하고 있습니다. 이들 산중에 황매산만 높이나 규모면에서 나머지 4산에 비하여 월등한
차이를 보여 산악인들 중에는 이 황매산 대신, 악견산 북쪽에 있는 용주면 "소룡산"을 포함시켜
5악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5.악견산과 의룡산
1)악견산;
기암괴석과 아름다운 꽃이 어우러진 산으로 알려져 있고,금성산 허굴산과 더불어 대병 三山의
하나입니다. 악견은 큰산 "岳" 굳게 "堅"으로 큰 바위산이라는 의미 입니다.
*전설;
ㅇ. 의병의 산; 선비들의 의병정신과 임진왜란때 권양,권해 형제와 박사겸,박엽등 합천의 선비
들이 의병을 모아 축성,왜적과 싸운 현장입니다.
ㅇ. 왜병이 장기전을 기하자, 금성산 바위에 구멍을 뚫어, 악견산과 줄을 매어, 붉은 옷을 입힌
허수아비를 띄워 달밤에 줄을 당겨, 춤추는 듯한 모습을 보여, 흡사 신선이 하늘에서 내려와 다
니는것 같아, 이를 본 왜적은 "곽재우" 장군이 왜적을 전멸 시킬 것이라며 겁에 질려 도망 하였다
는 전설이 전해 오는 산 입니다.
2)의룡산;
용이 꿈틀거리는 형상의 산.
용문정의 용문소를 품고 있는 산으로, 용문은 용이 하늘로 승천 하는 폭포소 용추의 전설이 서린
곳 입니다. 뱀이 500년을 살면 비늘이 생기고, 다시 500년을 살면 용이 되고, 그 다음에 뿔이
돗는 다고 합니다. 용은 하늘 나라 임금 옥황상재의 권속이라 합니다.
"소 월출산" 으로 불리기도 하며, 높은 절벽과 기암 괴석등이 장관이며, 특히 황강을 막아 만든
조정지 댐은 좋은 경치를 제공 하고 있습니다.
정상에서 서쪽의 악견산과 황매산 줄기,북으로 용문정을,북동으로 조정지댐을 조망할수 있습니다.
*악견산성
1999.8.6.경남기념물 제218호로 지정.
악견산 바위들을 연결한 자연 석성입니다.
경상도속찬지리지에는 1439년 축성된것으로 기록 되어 있으나, 조사 결과 1592년 무렵에
축성된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임진왜란시 성주목사 곽재우가 도체찰사 유성룡의 명으로 보수
이용 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용문정
晩隱 柳秀汀이(1484년ㅡ1534년)이 토정대부 평해군수겸 강능진관동첨절제사를 지내 다가
乙卯士禍(1519년)가 일어나 대사헌 조광조를 비롯한 많은 신진사류가 화를 당하자 벼슬을
버리고 말년을 향리에서 보내고자, 합천 용주 가호리로 낙향, 이곳에 龍門亭을 지어 영남좌우도
와 충청도, 전라도 일대의 賢人文客들과 학문을 교류하고 산수를 즐긴 곳 입니다.(아래사진참조)
퍼온 사진임니다
6.등산사진
1)정상사진
우 악견산 좌 금성산
이상 악견산
의룡산정상
의룡산원경
앞 금성산 뒤 황매산
앞 금성산 뒤 허굴산
2)의룡산 등로
용문사 입구
전망암
뒤 소룡산
암릉 우측 절벽
감투모양의 기암
3)악견산 등로
중간 임도
용문사 갈림길
정상직전 바위굴 통과
급경사 철계단
하산길 전망암
4)댐조망과 기암
이상 합천 댐
등로 입구 조망
바위 틈새 길
5)트랭글 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