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月岳山 國立公園의 변방, 말목산과,加隱山 탐방
1.산행 일시; 2017,11.5.(일)
*날씨; 맑은 날이나, 원거리 시계 불량.
2. "월악산 국립공원" 금수산(1015.8m)지구내 가은산(575m)과 둥지봉(413m)은 오래전 답사
한바 있으나 말목산(710m)은 차일 피일 미루어 오다가 오늘 on-line 산악회의 산행이 있어 참여
합니다.
3.단양군, 적성면, 하진 마을을 들머리로 하여,1, 2, 3 전망암에서 청풍호와 주변 산군의 조망을
즐기고 말목산 정상에서, 다소 위험한(낙엽과 이끼등으로) 북쪽 너덜길을 내려 서 ,세목재,595m봉
과 떡갈미기고개를 지나 천진선원 갈림길에서 고갯골등으로 올라, 능선을 따라 가은산 정상에 올랐
습니다. 가은산 정상에서 잠시 쉼을 갖고, 하산 길에 들어, 상천리와 옥순교 방향의 등로는 기 답사
한바 있어 잠시 망설였으나, 상천리 방향을 선택, 상천리 주차장까지 GPS측정거리 9.04km (실제
거리 약11km 내외)의 산행을 마감 합니다.(*지도 참조)
4.월악산 국립공원;
*1984년 17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됨.
*면적; 287.571 평방km.
*위치; 소백산을 지나 속리산으로 연결되는 백두대간의 중간지점으로, 충북 제천시, 단양군
충주시와 경북 문경시에 접하고 있습니다.
*공원내 주요 명산;
0송계 지구;월악산(1094m),만수봉(985.2m),부봉(913m),하설산(1027.2m),문수봉(1161.3m)
황장산(1077.4m)등과
0금수,도락산지구; 금수산, 망덕봉(916m),가은산, 말목산,구담봉(330m),옥순봉(286m),제비봉
(721m),도락산(964.4m)등 22개의 명산이 있습니다.
5.말목산(710m, 馬項山)
1) 말목산은 마항산으로도 불립니다
산의 형세가 말의 목 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명칭 입니다. 산세가 가파르고 암봉등으로 자태가
뛰어 나며, 소나무가 많아 산의 정취를 더해 줍니다.
2) 적성면 일대는 "品達村"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이곳에서 유명인사가 많이 배출 되었기 때문
이라고 합니다. 고려시대의 우탁선생과, 조선조에 유척기선생이 이곳 출신입니다.
3) 말목산에는 아름다운 사랑 얘기가 전해오데,이는 당시 이곳 군수"퇴계 이황"과 이마을 여인
"두향"의 사랑얘기로, 퇴계가 두향과 사랑을 나누던중 이곳을 떠나게 되자, 그를 사모하여 평생
수절한 두향이 죽은후, 말목산 기슭에 묻혀 있다는 애절한 이야기 입니다.(사진참조)
6.加隱山 (575m)
1)충북 제천 수산면 소재의 산입니다.
"가은산"은 간신이 몸만 피난 한다는 뜻으로, 달리 "加陰山"이라고도 표기 합니다.
한편 "가는산"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그 내력과 관련하여 이렇한 전설이 전해 오고 있습니다.
[마고 할미가 나물을 뜯으러 왔다가, 반지를 잃어 버려, 온 능선과 골짜기를 샅샅이 찾아 다니
다가 아흔 아홉번째 골짜기에서 반지를 찾게 되 었는데, 반지를 찾은 마고 할미는 "이 산에
골짜기가 하나만 더 있었더라면 한양이 들어설 골짜기인데,내가 이곳에 눌러 앉아 살려고 해도
한양이 될 땅이 못되니 떠나 겠다" 라는 말을 남기고 떠났다고 합니다.이로 인해"가는 산"이라
는 이름이 생겨 났다고 합니다]
2) 가은산에는 새바위, 벼락바위,투구바위,미륵불바위,곰바위,기와집바위,손바닥바위,석문,
굴바위,마당바위,코끼리바위,물개바위,촛대바위,처마바위,시계바위,거북바위,학바위,전차바위
등 화강암이 자연풍화로 형성된, 기암괴석이 많아 자연 박물관을 연상 시키고 있습니다.
가은산은 청풍호와 옥순, 구담봉의 좋은 조망처 이기도 합니다.
7.산행사진
1)정상모습
▲이상 말목산 정상 모습
▲구 정상석 (정상 직전의 정상과 다른자리에 있던 정상석으로 현재 보이지 않음)
▲뒤 말목산 원경
▲제비봉 원경
▲건너다본 중계탑봉
▲595m봉
2)말목산 전망암에서 본 조망
▲ 2번째 전망암
▲이상 청풍호
▲청풍호
▲이상 3번째 전망암과 조망풍경
▲하산길 전망대에서 본 옥순대교
▲구담,옥순봉 방향
3)등로 풍광
▲초입 임도 끝부분의 소나무
▲임도 끝 너덜지대
▲말목산 하산 너덜길 출구부
▲세목재
▲철 잊은 진달래
▲떡갈미기 고개
▲고갯골등
▲가은산 능선 전망대
▲기와집 바위 앞과 뒤
▲물개 바위
▲하산길에서 본 상천리
4)트랭글 궤적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