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https://cafe.daum.net/inyeung/MZG/12859?svc=cafeapi
- 니다
- http://cafe.daum.net/inyeung/MZG/12741?svc=cafeapi
- https://cafe.daum.net/inyeung/MZG/12804?svc=cafeapi
- https://cafe.daum.net/inyeung/MZG/12895?svc=cafeapi
- Today
- Total
그래mds
[스크랩] 琵瑟最頂여맥의 最頂山,舟巖山 탐방 본문
1.일시; 2018. 1. 13(토)
날씨; 맑음, on-line산악회 참가.
2.달성, 가창댐앞 "光德寺"입구에서 출발, 광덕사를 일별하고, 등산로에 접어들어 산행을 시작
합니다. 초반부터 582m봉 능선 까지 가파르게 올라 갑니다. 지난 이틀동안의 혹한 여파에 대비 한 산행장비들이 어깨에 부담을 줍니다. 오히려 날씨는 풀려 온화한 바람이 시원하기 까지 한데
말입니다.
천천이 걸어, 전망이 좋은 배바위에 올라, 사방 시원한 조망을 둘러 보고, 바로 남쪽아래 주암산
(846.8m)을 지나, 평탄한 눈길의 등로를 따라 kt통신탑과 국가시설이 정상을 점하고 있어,실제
정상 구실을 하는, 광활한 최정산헬기장(905m)에서 잠시 쉼을 갖으며 주위를 둘러 봅니다.
이마에 땀이 식을 즈음, 급경사 너덜의 하산길에 들어 "雲興寺"를 끝으로 산행을 마감합니다.
가창댐옆의 도로에 이르기 까지 gps 측정 도상거리 9.34km의 산행 이었습니다.(개념도 참조)
3.최정산과 주암산은 비슬기맥에서 분기한 "비슬최정여맥"상의 산으로 중흥사, 광덕사등의
사찰를 품고 있는 산이기도 합니다.
*最頂山(915m);
1)비슬산 주봉에서 동으로 이어진 능선이 북으로 방향을 바꾸어 올라 가다 솟구처 이루어진
산입니다.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이 섞여 혼합림을 이루고 1천여종의 자생식물이 자라며 봄
에는 진달래가 가을에는 단풍이 고운 산입니다.
2)최정산과 통점령사이 700-800m이상의 산정에는 넓은 고위 평탄면이 발달하여, 강원도의
대관령과 함께 고위 평탄면을 갖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이곳에는 과거에 구축된 산성이
있고, 현재는 대구 지역의 고냉지 농업과 목장등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비슬산과 더불어
달성군의 명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명칭유래;
정상부가 평탄하고 주변에서 가장 높은 산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된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舟巖山(846.8m);
ㅇ 명칭유래;
정상부근의 바위가 배모양을 닮았다하여 주암산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일명 "배바우산"이라고도 합니다.
비슬산에서 북동 방향으로 뻗은 최정산괴의 하나의 봉우리 입니다.
주암산에서 시작하여 남으로 최정산을 거쳐 牛尾山(747m),三聖山(668.4m) ,烽火山(474m)
八助嶺(360m)으로 이어지는 최정산괴는 비슬산괴의 중앙에 위치한 산괴로 비슬산과 비슷한
형태를 보여 비슬산의 형제산으로 불려지고 있습니다.
4.비슬기맥;
비슬기맥은 낙동정맥상의 사룡산(683m) 북쪽400m지점의 656m봉에서 서쪽으로 분기,금호강의
남쪽과 밀양강의 서쪽 울타리 역활을 하면서, 밀양시 상남면 외산리 오두진 나루터인, 밀양강
과 낙동강 합수점에서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146.5km의 산줄기 입니다.
최고봉인 비슬산(1083.6m)의 이름을 딱서 비슬기맥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비슬기맥의 주요 산으로는 분기봉(656m), 사룡산(683m),구룡산(674.8m),선의산(756.4m)
용각산(692.5m),삼성산(668.4m),비슬산,조화봉(1057.7m),천왕산(619.2m),화악산(930m)
종남산(663.5m) 등이 있습니다. (아래사진참조)
5.비슬최정여맥; ( 여맥;10km미만의 산줄기임)
낙동정맥 사룡산에서 분기한 비슬기맥이 팔조령,삼성산, 통점령(710m)에서 올라간 등고선상
730m지점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가창면을 동서로 나누며 북진,부대앞도로(730m),887.9m봉
최정산,886m봉,859m봉,주암산,광덕사 갈림길(582m), 30번국도를 지나 가창면 용계리 용계천
이 신천을 만나는 곳에서 끝맺는 약 9.6km의 산줄기 입니다.(출처;산경표 따르기)
*光德寺;
달성군,가창, 용계리에 위치하며, 가창 저수지 옆에 있습니다.
1967년 정운성 스님이 창건 하였습니다. 불교 조계종 소속이며, 납골당을 함께 운영
중입니다.
주암산과 최정산 등로의 입구및 출구의 기점이기도 합니다.
*雲興寺;
조계종 9교구동화사의 말사 입니다.
신라 흥덕왕(826년-836년)때 운수가 창건 하였습니다. 창건당시는 棟林寺로 불렸습니다.
신도를 찾아 谷山으로 옮겨 燧巖寺라 개칭하기도 하였으며, 다시 현 위치로 옮겨 절이름을
운흥사로 하였다고 합니다.
임진란때에는 사명대사가 이곳에서 승병을 지휘 한것으로 전해오고 있습니다.
이곳역시 최정산 등하산의 기점이기도 합니다.
6.산행사진
1)정상사진
△ 배바위봉
△ 주암산
△최정산 헬기장 이정목(현재 접근가능위치)
△국가시설의 실제 최정산 정상 원경
△광할한 정상의 헬기장
△정상부의 kt 통신탑
2)조망사진
△대구시내 방향
△용지봉 방향
△이상 대구 앞산과 산성산 방향
△남쪽 kt통신탑및 최정산 방향
3)등로 풍경
△전망암
△기도원 사람들의 쉼터
4)광덕사와 운흥사
△광덕사
△운흥사
5)트랭글 궤적등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숲의 여왕;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숲 trekking (0) | 2018.01.29 |
---|---|
[스크랩] "新天安脈"上의 上峯山,銀石山,鵲城山 탐방........(전철시리즈 제22탄) (0) | 2018.01.21 |
[스크랩] 禮山의 鎭山 金烏山과,冠帽山,龍屈峰,土城山,安樂山 탐방.....(전철시리즈 제21탄) (0) | 2018.01.11 |
[스크랩] 새해 해맞이 山行을 古群山群島에서............(1부) (0) | 2018.01.02 |
[스크랩] 古群山群島에서 해맞이.............(2부) (0) | 2018.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