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mds

[스크랩] 대전(大田) 둘레산 길 10구간; 빈계산(牝鷄山), 산장산(産長山) 탐방 본문

산행기

[스크랩] 대전(大田) 둘레산 길 10구간; 빈계산(牝鷄山), 산장산(産長山) 탐방

장대장 2018. 12. 2. 22:46

   1.산행일시; 2018. 12. 1.(토)

   ㅇ날씨; 구름 약간의 맑은 날이나, 연무 현상으로 시계는 나쁜 날.

   ㅇ동행; 허 고문.


  2. 교통

    ㅇ갈때   

     *서울역; 전철이용.

     *서울역-대전역; 무궁화호 열차 이용.

     *대전역-대전현충원역; 대전1호선 전철이용.

     *현충원역-수통골버스종점; 103번 버스환승.

    ㅇ올때

     *방동저수지 버스정류장-대전역; 43번버스 승후,1번버스 환승.

     *대전역-서울; 무궁화호 열차로 귀경, 전철이용 귀가.

  3. 산행경과

    ㅇ산행코스

    *수통골버스종점-2주차장-빈계산(414m)-임도횡단-범바위-용바위-성재(노적봉191m 갈림)

    -성북동산성-산장산(265.4m)-너럭바위득공터갈림-방동저수지(라이온스동산)입구(개념도참조)    

    ㅇ산행거리; gps 측정 8.48km (대전 둘레산길 12코스 중 가장 단거리이며 편안한 코스임)


   4. 빈계산과 산장산

    ㅇ빈계산;

    1)빈계산은 "계룡산국립공원"에 일부가 속하며, 산장산과 더불어 "산장산 둘레길"을 이루는

      산이기도 합니다.

    2) 여지도서 (진잠)에 "分鷄山(분계산)은 현 서북쪽 5리에 있는데, 금수산으로 부터 왔다고"

      하여 관련기록이 처음 등장 합니다.

      이후, 충청도읍지, 호서읍지,1872년 지방지도, 조선지지 자료에 분계산(分鷄山)으로 등장

      하며, 대동지지에는 분계산(分界山)으로 표기되어 한자가 다르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산의 모양이 암닭과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빙게산"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전국 닭 관련 지명현황에서 발췌)


       *대전둘레산길 개념도와 12코스(오늘 10코스 탐방)


        ㅇ산장산;

     1) 용바위에서 계룡산의 계룡이 나와서 산이름이 산장산이 되었다고 합니다.

     2) 산장산은 해발 265m로 옛부터 鎭岑(진잠)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온 산입니다.

       남으로 구봉산, 북으로 빈계산, 금수봉, 도덕봉과 연결되고 조선시대 대동여지도에도 등재

       되어 있습니다.   

        3) 산의 아름다음과 함게 이지역 교통의 요충지였기에 유명하게 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 문화 유산으로 성북산성(기념물18호)은 백제시대에 축성된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봉화터

        (팔각정터), 봉소사 석조불입상, 5층탑(유형문화재5호)등이 있습니다.

        진잠쪽에는 향교,지석묘,기성관등의 문화재가 있다고 합니다.

     5) 서쪽으로는 방동저수지와 백운봉, 계룡산등이 조망됩니다.



  


    *"빈계산과 산장산"은 해발 높이등 여러면에서 비교되는 "금수봉, 도덕봉"과 달리 "봉"이 아닌

    "산"으로 명명 되고 있는바, 전자의 산들은 계룡산에 부속된 산줄기상의 산(현재 관음지맥상의

    산들임)으로, 후자의 산들은 옛부터 이 산들과는 별개의 독립된 산으로 보아 온것으로 생각됩니다.


        *수통골

     계룡산 도덕봉과 금수봉, 금수봉과 빈계산 사이로 흐르는 골짜기의 도덕봉 아래에 의상대사가

     수도했던 수통굴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또 한, 길고 크게 물이 흘러  내리는 

     골짜기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등, 몇 지의 설들이  전해 오고 있습니다.   



        *계룡산국립공원

     1) 우리나라  2번째 국립공원(1968. 12. 31.)으로 지정됨.

     2) 면적; 65.335㎢.

     3) 계룡산의 의미는, 조선 초기 이 태조가 신도안에 도읍을 정하려 답사 할때 무학대사가 산의

        형국이 金鷄抱卵形(금계포란형)이요, 飛龍昇天形(비룡승천형)이라고 일컬음에서 "鷄"와 "龍"

        따서 불려지게 된것으로 전해오고 있습니다.

     4) 계룡산은 신라통일후 5악중 西嶽으로  조선조에서는 3악중 中嶽으로 봉하여진 명산 입니다. 



   5. 산행사진

   1) 정상사진

    <빈계산>




△대전둘레산길의 산 정상석은 거의 없슴


   <산장산>

△3각점이 있는 실제 정상


△봉화터의 팔각정이 정상 구실을 함


   <도덕봉>


△도덕봉과 뒤로 계룡산


  <금수봉>




    2)조망사진


△계룡산 줌인



△ 대전 시가지


△봉덕사 줌인


△ 이상 대전 시가지


△방동저수지


△ 이상 2장사진; 2017.8.6.산행한 구봉산 능선 줌인


△동쪽으로 바라본 식장산 통신 타워가  연무등으로 희미하게 보임


     3)범바위 와 용바위

△ 충청도읍지 지도로 산장산 용암 범바위 등의 표시가 확실합니다.


△이상 범바위






△이상 용바위. 맨아래 사진은 아래 쪽에서 본 용바위


    4)등로 풍광





△성재(우측<서쪽방향>으로 300 여m지점에 191m의 노적봉이 있으나 사유지로 출입이 어려움)


△성북동 산성지 표지물과 산성지


△너럭바위 설명과 너럭바위


△명창 박동진의 득공터 설명으로,너럭바위에서 100m정도  아래 동쪽으로 득음터가 있슴


△날머리 라이온스 동산의 단풍


     5)트랭글궤적 등















출처 : 여행등산야생화 사진
글쓴이 : 장대장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