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니다
- https://cafe.daum.net/inyeung/MZG/12895?svc=cafeapi
- https://cafe.daum.net/inyeung/MZG/12804?svc=cafeapi
- https://cafe.daum.net/inyeung/MZG/12859?svc=cafeapi
- http://cafe.daum.net/inyeung/MZG/12741?svc=cafeapi
- Today
- Total
그래mds
[스크랩] 앵자지맥; 한강 두물머리 조망대; 해협산과 정암산 탐방 본문
1. 산행일시; 2019. 1. 6.(일)
ㅇ 날씨; 맑음 (소한 절기 임에도 아주 포근한 날)
ㅇ 동행; 친구와 둘이서.
*산행 내내 단 한사람의 산객도 만나지 않은, 산 전체를 전세 낸 단둘만의 독점 산행 이었습니다.
2. 교통
ㅇ갈때
* 강변역; 전철, 4, 2,호선 이용.
* 강변역-퇴촌; 13-2 버스. 퇴촌 농협 앞.
* 퇴촌-염치(영동)고개; 택시 이용( 앵자지맥길을 들머리로 한 산행 시작의 경우, 대중교통의
타임 매치에 어려움이 있슴)
ㅇ올때
* 귀여1리(팔당 물안개공원앞 정류장)-명일동 전철 정류장; 대중교통이 아주 불편하여 많은
시간을 대기.
(독실한 성도이시며, 국가적 현안 문제인 "노인문제 전문가"의 친절한 호의로 승용차에 동승,
편하고 빠르게 명일동 전철역에 도착 하였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 명일동역; 5,7,4호선 전철 이용 귀가함.
3. 산행경과
*산행을 하면서 곰곰히 기억을 되 짚어 보니, 앵자봉,천진암을 비롯해 이지역의 산들을 찾은
때가, 쌍 8년도 올림핔 즈음으로, 이번 산행이, 한 세대를 지난 30 여년의 격차를 훌적 넘긴
오랜만의 해후로구나 하고 생각하니, 새삼 세월의 무상함을 실감합니다.
ㅇ산행코스
*염치(또는 영동고개, 앵자지맥 횡단길,지방도 88호선)고개-푯말 철탑-해협산(527.1m)-중식
(개념도4번지점)-수청리갈림4거리고개-408m봉-귀여리갈림길-옛고개4거리-정암산(402.8m)
-서쪽 하산능선 쉼터-등로 입구묘역-귀여리 마을회관-팔당물안개 공원(귀여리 버스정류장).
ㅇ산행거리; gps 측정거리; 9km. (아래 개념도 참조)
*blue-line 따라 번호순으로 진행함.
4. 앵자지맥
백두대간 속리산 천황봉에서 분기한 한남금북정맥은 칠장산(492m)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으로
갈라지는데 한남정맥은 용인앞의 문수봉(404.2m)에 이르러, 북동쪽으로 다시 분기하는 산줄기가
있는데, 이를 "앵자지맥"이라고 합니다.
이 산줄기는 432m봉에 이르면 두 갈래로 갈라져 동으로는 독조지맥이 되고, 앵자지맥은 북동으로
뻗어가 천덕봉(635m)에서 북서향하여 광주시와 여주의 경계를 이루면서 남이고개를 지나 앵자봉
(670.2m)을 들어 올린후, 한강의 팔당에 이르는 도상거리 약 60km의 산줄기 입니다.
이 산줄기의 주요산으로는, 칠봉산(446.6m), 용실봉(422m),해룡산(367.2m),국수봉(423.8m),
정개산(407m), 천덕봉(635m),앵자봉(670.2m),해협산,정암산등이 있습니다.
5. 해협산
1) 남한강과 경안천을 동쪽과 서쪽으로 해협 처럼 끼고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2) 원래 바답산 이라 전하여 오며, 조선지지자료에는 밧탑산, 海塔山(해탑산)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3) 또한 정상석의 기록(광주 문화원)에는, 천지 개벽시 온천지가 물바다가 되어 많은 사람들이
배를 타고 피난을 하던중, 정상에 있는 "군두바위"에 말뚝을 박고 배를 정상에 붙잡아 매었
다고 하며 바위가 있는 곳이 골짜기라 하여,해협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6. 정암산
산의 정상에 큰바위가 있어 그 바위를 중심으로 검천리, 귀여리의 경계를 이룬다하여 정암산
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정상석의 기록)
*歸歟里(귀여리)
1) 歸歟 또는 歸去來(귀거래)는 벼슬을 떠난 선비가 낙향하여 후학을 가르치거나 安貧樂道
(안빈낙도)의 생활의 의미를 상징하는 말로, 논어의 "공자의 귀향"에서 비롯된 말 입니다.
2) 귀여리는 조선중종때, 청빈한 관료로 대사간을 지낸 韓承貞(한승정)이 낙향한 곳입니다.
지금의 팔당 물안개공원 인근의 "남석재"에 귀여정을 짓고, 후학을 가르친 곳입니다.
이마을 이름을 "귀여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당시 "귀여리"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3) 귀여리의 鎭山(진산)은 해협산이며 "해협" 명칭이 진산의 의미인 "받달"에서 유래, 변천
하여 온것으로 유추되기도 합니다. (강사랑님의 블로그 에서 인용)
*팔당 물안개공원
1) 광주시 남종면에 위치한 자연생태공원.
2) 원래 명칭은 "귀여섬"이었으나 시민 명칭공모를 통하여 현재 명칭으로 개칭됨.
3) 다목적 광장, 시민의 숲, 코스모스 길,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가을철에는 길을 따라
코스모스가 만발, 코스모스 명소로 유명함.
4) 자전거 길과 산책로가 잘 조성되어 있슴.
5) 두물머리에서 피어 오르는 물안개 모습을, 건너편인 이곳에서 볼수 있슴.
6) 분원 도요지와 함께 광주 8경중 두번째 경관임.
△퍼온 사진
7. 산행사진
1) 정상모습
<해협산>
<정암산>
△정암산 정상의 소나무
2) 조망사진
<해협산에서의 조망>
△숲사이로 본 용문산과 백운봉
△이상 숲 사이로 본 남 한강
<정암산에서의 조망>
△물안개 공원에서 본 예봉산
3)팔당 물안개공원
△얼음의 호수
△여름의 푸르름이 말라버린 겨울의 삭막함
4)등로풍광
<오름길>
△출발지 염치고개
△앙증 맞은 탑
△길가의 케언
△따듯한 햇볓아래 중식을 즐긴곳
△정암산을 향하는 능선의 곡각지점
△역광의 정암산 정상 소나무
△뒤 돌아 본 지나온 능선
<내림길>
5)트랭글 궤적등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金烏枝脈(금오지맥)의 3 백마중, 맏형 김천 白馬山 탐방 (0) | 2019.01.21 |
---|---|
[스크랩] 효월드를 지나는 대전산둘레길 제12코스; 동물원길 답사 (0) | 2019.01.13 |
[스크랩] 己亥(기해)의 아침 해는 삼천포 角山(각산) 전망대에서...........`` (0) | 2019.01.02 |
[스크랩] 鏡湖江(경호강)과 지리 동부능선의 조망대; 월명산,백마산,적벽산 순례 (0) | 2018.12.30 |
[스크랩] 보원사지와 개심사를 품고 있는 상왕산 trekking (백제의 미소; 마애여래삼존불의 아라메길 답사) (0) | 2018.12.24 |